최재천 선생님이 유튜브에서 인공지능에 대한 이야기를 하시며 챗GPT에 대해 미국에서 상위에 위치하는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은 레포트를 낼 때 챗GPT 같은 걸 사용해도 자신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와 자신만의 스타일을 잘 보여주면서 변별력을 갖추게 되는데 중하위권 대학들을 살펴보면 모든 학생들이 그저 챗GPT에 있는 내용 그대로를 뽑아 내버리는 바람에 채점을 하고 싶어도 어떻게 해야 될지 모르겠다는 제자 교수의 이야기를 소개했는데 https://youtu.be/Js5lIti9-TQ?si=qlz4W3gExNmV2Nho&t=655 그걸 들으며 대학교에 다녔던 시절 겪었던 일이 생각났다.
실험 과목 시간에 조교가 예년에 같은 과목을 수강했던 학생들의 실험 레포트를 그대로 베낀 사람이 있다며 한 사람 한 사람 베꼈냐고 물어봤는데 나 외엔 대부분이 베꼈다는 사실이 드러나게 되었다. 이 일을 이럴 수 있냐는 투로 동기한테 말했더니 그런 게 당연하다는 답이 돌아왔다. 결국 멍청해서 그랬겠지만 좋은 학점을 받지도 못했고.
결국 내가 생각하는 편한 방법을 고르지 않는다는 이런 것이었을 것이다. 그냥 편한 방법을 고르지 못하는 것이고 불편한 방법도 제대로 해내지를 못하니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받지 못했던 거겠지. 보면서 왜 저러냐 하는 생각만 들었을 거고.
다른 사람과 다른 생각을 한다는 것은 오답일 확률이 너무나 높다. 그걸 진작에 알아차려야 하는데 알아차리는 시점은 대부분 모든 게 끝난 이후다. 어중간한 지능을 가지고 있는 것은 나 같은 사람에게 그냥 저주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세상을 단순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면 차라리 편하지 않았을까 하고... 뭔가를 분출하고 싶어도 못하는 것 또한 이 때문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