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2018. 4. 28. 10:54


미국 과학자들은 목이 베인 돼지의 뇌 속에 산소가 풍부한 유동액을 순환시킴으로써 서른여섯 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Yale대의 신경과학자 Nenad Sestan 씨가 이끄는 연구팀은 뇌가 의식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며 이 성과가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증명하는 데에는 도움을 주어 암부터 치매에 이르는 질병을 어떻게 치료할지 연구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MIT Technology Review지에서 발표되고 미국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에서 3월에 가진 회의 때 Sestan 씨가 언급한 이 발견은 과학계에 다양한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San Diego시에 있는 California대 소속 신경과학자 Anna Devor 씨는 MIT Technology Review지에서 이 성과가 과학자들이 뇌세포 간의 연결을 연구하여 "뇌지도"를 만드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나 다른 과학자들이 서둘러 이 발전으로 인해 사람이 곧 죽음을 이겨낼 수 있거나 뇌를 새로운 몸으로 이식할 수 있거나 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Sestan 씨는 NIH 회의에서 "이 동물의 뇌가 어디에나 적용되는 게 아닙니다. 이건 자신있게 말할 수 있습니다."라고 말한 것으로 보고서에 기록되었지만 윤리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만약에 누군가가 이 기술을 발전시켜서 무언가의 (뇌의) 활동성을 되살린다고 한다면 이것은 사람으로 이어질 것이다. 만약 그렇게 되살아나서는 기억까지 가지고 있다면 나는 완전히 까무러칠 것이다."

University College London 소속 신경퇴행 부문 교수 Frances Edwards 씨는 Guardian지에게 이 성과가 연구자들에게 매우 유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것은 뇌세포 간의 연결을 연구하고 대뇌 속에서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단계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입니다. 형상화를 하는 데에도 다소 도움을 줄 것이고 형상화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에는 확실한 도움을 주겠죠." 그러나 Edwards 씨는 이 연구가 인류로 치환되는 것은 아니라고 말하며 뇌이식의 가능성도 부정했다. "이 연구로 사람의 뇌를 어떻게 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돼지나 사람이나 뇌를 한번에 적출할 수 있는 것은 죽은 상태여야 가능합니다. 다만 이번 돼지의 경우 건강한 동물을 골라서 죽는 시기와 방법을 확실히 정하고 적출해낸 다음 몇 분간 냉각시키고 나서 다시 산소가 가득한 환경에서 해동을 시켰던 것이죠." 이런 과정을 사람에게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뇌사 판정을 받은 경우라 한들 "적출은 가능할지 몰라도 완전히 손상되어 있다"라고 밝혔다. Edwards 씨는 결론적으로 말해서 이 성과가 실험에는 유용하지만 사람에게 적용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그냥 동화같은 이야기예요."

Sestan 연구팀은 도살장을 통해 수급한 돼지 백 마리 이상을 사용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연구팀은 세포를 살아있는 채로 보관하여 산소가 가득한 유동액을 장기에 공급할 수 있는 BrainEx라고 하는 정밀기기를 사용했다.

이런 식으로 동물의 뇌를 적출한 상태에서 유지시켜낸 것은 처음 있는 일이 아니다. 이런 성과는 기니피그를 통해서 이뤄진 바가 있다. Edwards 씨는 쥐를 포함한 설치류의 뇌간과 심장 또한 적출한 상태에서 유지시켜내었다고 언급했다. "윤리적인 문제를 고려하여 피질은 제거했습니다. 뇌를 조각내었을 때에도 일부는 고립된 채로 하루 정도를 버티더군요. 인상적인 것은 연구팀이 대뇌에 온전하고 비교적 효율적으로 산소를 공급할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https://www.theguardian.com/science/2018/apr/27/scientists-keep-pigs-brains-alive-without-a-body-for-up-to-36-hours?CMP=twt_gu



posted by alone glowfly
:
문화/스포츠 2018. 4. 28. 09:59

http://www.worldcurling.org/wmdcc2018/last-16-one


8강에서 숙적 일본팀에 막판 역전승을 거둔 한국팀이 4강에서는 러시아팀과 붙게 된다. 어쩌다보니 플레이오프에서 연이어서 예선 C조에 속해 있던 팀들하고만 겨루게 되었는데 예선에서 일본팀하고 러시아팀이 똑같이 5승 2패였고 8강에서 고전했던 걸 생각해보면 쉽지 않은 경기가 될 것 같다. (아니면 일본팀이 예선에서 힘을 온존하고 있었다든가? -_-a)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으로는 12시, 한국 시간으로는 19시이며 여기에서 이기면 캐나다팀과 스위스팀 경기의 승자와 결승에서 붙게 되고 지면 패자와 동메달 결정전을 하게 된다. 어느 쪽이든 간에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으로 16시, 한국 시간으로 23시가 된다.



World Curling TV에서는 4강 중에서 캐나다팀과 스위스팀의 경기만 중계할 것을 예고해 놓은 상황이다. 



결승과 동메달 결정전 중에서도 결승 쪽만 중계된다.

SBS Sports는... 프로야구하고 프리미어 리그 중계하느라 바쁜데 그런 거 보여줄 시간이 어딨나. 애시당초 World Curling TV 영상만 받아먹고 있는 판에. 그러니 뭐 4강 일정 중에서 한국팀 경기를 볼 수 있으려면 한국팀이 결승에 올라가는 것 외에는 없다. 아니면 위의 영상들 중간에 짤막하게 나오는 것 외에는 딱히 -_-a


posted by alone glowfly
:
문화/영화 2018. 4. 28. 01:03

어떤 사건을 다룰 때에 사람들은 보이는 것에 치중하게 된다. 안 보이는 것을 일일이 찾을 수 없는 노릇이고 그런 역할을 해야 하는 사람들도 대부분 보이는 것에 치중하고 만다. 그런 것에 치중하지 않으면 장사가 되지 않는다는 객관적인 사실도 있고...

이 영화는 세월호 사건 당시 사망한 단원고 학생들의 친구들의 이야기를 담은 작품이다. 정혜신 박사님이 이 친구들을 모으고 또래의 연령대에 해당하는 청소년~20대 초반 청년들을 모아 공감기록단(공기단이라는 약칭으로 자주 부른다)을 구성해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그 이야기를 영화 등 기록물로 만들어 내는 과정을 담았다.

사실 이렇게만 놓고 보면 여태까지 나왔던 세월호 사건 유족들의 이야기와 크게 다를 바가 없다. 못해줘서 미안해가 주를 이루는... 하지만 유족들과 친구들의 입장은 크게 달라진다. 유족들은 가족이니 그러려니 생각하는 면이 있지만 친구들은 다른 사람들이 보기에 "왜 그렇게까지 슬퍼하는데?"라는 생각을 쉽게 하는 입장에 놓이게 된다. 반면에 친구들은 자기 입장에서 둘도 없다시피 했던 친구들을 떠나보냈다는 사실에 강하게 매이게 된다. (이는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가정의 존재가 점점 작아지고 그만큼 다른 곳의 존재감이 커지는 것도 한 몫을 하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를 들어주는 것은 같은 청소년, 세월호 사건 당시 청소년이었던 청년들이다. 친구들과 비슷한 성장기에 놓여있는 세대가 이야기를 들어주는 과정도 많이 부족했던 것 아닌가 싶다. 비슷한 세대인 친구를 잃어버렸으니 당연히 이런 식으로 이야기를 할 기회를 가지는 게 더 힘들었을 텐데 이런 생각까지 이른 어른들이 과연 얼마나 될까하는 생각도 든다. 

친구들 이야기에 대한 감상을 공기단이 이야기해보는 자리에서 자연스럽게 공기단 쪽도 가슴 속에 품고 있었던 이야기를 하게 된다. 세월호 사건만큼의 일은 아니어도 크고 작은 마음의 상처를 남겼던 일들을 고백하며 친구들의 이야기를 어떻게 들었는지, 자신이 참여한 의미가 어떤 것인지 끌어내었고 이것을 들은 친구들이 다시 이에 대한 피드백을 남긴다. 왜 이렇게까지 참여하는 건지 조금 의심이 들었지만 이야기를 듣고 나니 알겠다는 말과 함께. 단순한 봉사활동을 넘어서 친구들과 공기단 사이에 다리를 놓는 과정이 성공하게 된 것이다. 이 과정이 진행을 맡은 정혜신 박사님의 진정한 의도였고 영화의 핵심이었다.

공감이나 치유라는 것은 생각보다 어려운 것이다. 많은 경우 겉핥기에 불과할 수 있고 심한 경우 도리어 더 깊은 상처를 낼 수도 있다. 이 상처를 감당해내려면 사람은 더욱 깊은 곳으로 파고들 수 밖에 없다. 친구들 중에서 이번 과정을 통해 방 같은 공간을 벗어나 더 넓은 곳을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나온 것도 이런 것일 것이다. 사람들이 제대로 손을 내밀어주지 않았기에 맞잡을 수 없었고 그만큼 좁은 공간에 갇힌 것처럼 살아야 했던 것이다. 여기에 나오는 친구들뿐만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마음 속에 좁은 공간을 만들어놓고 거기에 갇혀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평점은 10점 만점에 9.5점. 거창하게 늘어놓고선 뭔 점수를 깎는 거냐 싶기도 한데 만점으로 치기엔 뭔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든다. 동시에 그게 뭔지 잘 모르겠다...


영화진흥위원회 기록 상으로는 공동체 상영회 한번 한 뒤로 정식 개봉이 아직 안 된 것 같다. 내가 본 것도 인디서울 2018을 통해서인데 4월 상영작이라 며칠 있으면 상영이 끝나는 걸로... 정식 개봉이 빨리 이루어졌으면 좋겠다.

posted by alone glowfly
: